문제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 ×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벽 또는 빈칸이다. 청소기는 바라보는 방향이 있으며, 이 방향은 동, 서, 남, 북중 하나이다. 지도의 각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고, r은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로봇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 현재 위치를 청소한다.
-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방향부터 차례대로 탐색을 진행한다.
- 왼쪽 방향에 아직 청소하지 않은 공간이 존재한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한 칸을 전진하고 1번부터 진행한다.
- 왼쪽 방향에 청소할 공간이 없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인 경우에는,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후진을 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이면서, 뒤쪽 방향이 벽이라 후진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작동을 멈춘다.
로봇 청소기는 이미 청소되어있는 칸을 또 청소하지 않으며, 벽을 통과할 수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 (3 ≤ N, M ≤ 50)
둘째 줄에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좌표 (r, c)와 바라보는 방향 d가 주어진다. d가 0인 경우에는 북쪽을, 1인 경우에는 동쪽을, 2인 경우에는 남쪽을, 3인 경우에는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셋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장소의 상태가 북쪽부터 남쪽 순서대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빈칸은 0, 벽은 1로 주어진다. 지도의 첫 행, 마지막 행, 첫 열, 마지막 열에 있는 모든 칸은 벽이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상태는 항상 빈 칸이다.
출력
로봇 청소기가 청소하는 칸의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import sys
n,m = map(int,input().split())
r,c,d = map(int,input().split())
graph = [list(map(int,sys.stdin.readline().split())) for _ in range(n)]
answer = 0
dx = [-1,0,1,0]
dy = [0,1,0,-1]
def clean(r,c,d):
global answer
if graph[r][c] == 0 :
graph[r][c] = 2
answer += 1
for _ in range(4):
nd = (d+3) % 4 # 모듈로 연산
nx = r + dx[nd]
ny = c + dy[nd]
if graph[nx][ny] == 0 :
clean(nx,ny,nd)
return
d = nd
nd = (d+2) % 4 # 후진 방향 모듈로 연산
nx = r + dx[nd]
ny = c + dy[nd]
if graph[nx][ny] == 1:
return
clean(nx,ny,d) # 방향을 유지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nd가 아닌 d
clean(r,c,d)
print(answer)
문제 풀이
구현에 대한 사고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걸 느끼게 된 계기로 요즘 백준이나 프로그래머스에서 구현, 시뮬레이션 문제를 하루에 2~3문제 씩 풀려고 하고 있다. 그중에서 코딩 테스트에 나오는 비슷한 문제들을 풀고 있는데 이 문제가 조건이 꽤 많이 있어 푸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 dx, dy를 통해서 좌표 연산이 가능하게 선언했다.
문제에서 북, 동, 남, 서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따로 구현했어야 싶었는데 그게 아니어서 헤맸다. - 청소가 되지 않은 부분은 0이므로 만났다면 청소를 했다는 뜻으로 해당 좌표를 2로 바꾸고 answer를 1 증가시킨다.
- 방향 연산을 통해서 nd를 선언해 북, 동, 남, 서에 대해서 모듈로 연산을 통해 좌표를 구한다.
- nx, ny는 이동한 좌표이며 graph [nx][ny]가 0이라면 재귀를 통해서 함수를 수행하고 d를 nd로 초기화한다.
- 후진에 대한 nd를 구해야 하며 이것 또한 모듈로 연산을 통해서 구하도록 한다.
- 청소가 돼있거나 후진을 해도 벽을 만난다면 종료한다.
- 아니라면 방향은 유지한 상태에서 후진을 하라고 조건에 나와있으니 clean(nx, ny, d)로 nd가 아닌 d를 매개 변수로 받는다.
문제를 읽으면 문제에 대한 접근법은 생각이 나지만 그것을 코드로 옮기는 것은 별개라는 것을 또 한 번 느끼게 되었다. 하루에 1~2문제 씩 정해진 종류의 문제를 풀면서 감을 잃지 않게 노력해야겠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게임 맵 최단거리 (0) | 2021.05.07 |
---|---|
[프로그래머스]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오픈채팅방 (0) | 2021.05.07 |
[프로그래머스] LV4 징검다리 (0) | 2021.04.27 |
[프로그래머스] LV3 순위 (0) | 2021.04.23 |
[백준/BOJ] 6497번 전력난 (0) | 2021.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