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DN
×
close
ODDN
분류 전체보기
(172)
개발
(48)
알고리즘
(121)
일상
(3)
HOME
Github
LinkedIn
[백준/BOJ] 2108번 통계학
문제 수를 처리하는 것은 통계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통계학에서 N개의 수를 대표하는 기본 통계 값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단, N은 홀수라고 가정하자. 산술평균 : N개의 수들의 합을 N으로 나눈 값 중앙값 : N개의 수들을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했을 경우 그 중앙에 위치하는 값 최빈값 : N개의 수들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범위 : N개의 수들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네 가지 기본 통계 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그다음 N개의 줄에는 정수들이 주어진다. 입력되는 정수의 절댓값은 4,00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는 산술평균을 출력한다.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2020. 11. 16.
알고리즘
[이코테]계수정렬
계수 정렬 알고리즘은 특정한 조건이 부합할 때만 사용할 수 있지만 매우 빠른 정렬 알고리즘이다. 모든 데이터가 양의 정수인 상황이라면 , 데이터의 개수가 N , 데이터 중 최댓값이 K일 때, 계수 정렬은 최악의 경우에도 수행 시간 O(N+K)를 보장한다. 다만 계수 정렬은 이처럼 매우 빠르게 동작할 뿐만 아니라 원리 또한 매우 간단하다. 데이터의 값이 무한한 범위를 가질 수 있는 실수형 데이터가 주어지는 경우 계수 정렬은 사용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가장 큰 데이터와 가장 작은 데이터의 차이가 1,000,000을 넘지 않을 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계수 정렬이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이유는, 계수 정렬을 이용할 때는 '모든 범위를 담을 수 있는 크기의 리스트를 선언'헤야 하기 때문이다. 계수 정렬은..
2020. 11. 16.
알고리즘
[이코테]정렬알고리즘의 개요
정렬(sorting)이란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를 가공할 때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 등 대부분 어떤 식으로든 정렬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에 정렬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숫자가 하나씩 적힌 카드가 10장 있다면, 이 카드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보자. 어떻게 이 카드들을 정렬할 수 있을까? 보통은 카드를 훑은 후 숫자를 0부터 0까지 구성된 걸 확인하고 순차적을 나열할 것이다. 하지만 컴퓨터에게는 쉬운 작업이 아니다. 컴퓨터는 인간과 다르게 데이터의 규칙성을 직관적으로 알 수 없으며, 어떻게 정렬을 수행할지에 대한 과정을 소스코드로 작성하여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한다. 정렬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류된다..
2020. 11. 15.
알고리즘
기술 블로그 시작 ..!
1. 기술 블로그 시작하게 된 이유 많은 개발자들이 기술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들리는 말로는 개발자는 기술 블로그 하나쯤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데.. (채용 시 우대하는 기업이 있는 것도 한 몫했다..) 나는 솔직히 깃허브만 관리 잘하면 되겠지 라는 생각으로 만들 생각은 안 하고 있었는데 다른 개발자들이 기술 블로그에 관련 기술이나 알고리즘 풀이를 올리고 내가 그런 것들을 참고하게 되면서 점점 기술 블로그 만드는 것도 나쁘지 않겠는데..?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서 이 기술 블로그가 어떻게 성장하는지 지켜보는 재미도 있을 것 같다. 꼭 티스토리 플랫폼을 평생 사용할 거야! 는 아니지만 내 마음을 이끄는 플랫폼이 있다면 그런 플랫폼으로 이전할 수도 있겠다. 1-2 기술 블로그란? 기술 블..
2020. 11. 13.
일상
navigate_before
1
···
26
27
28
29
navigate_next
티스토리툴바
ODDN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