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럭 여러 대가 강을 가로지르는 일 차선 다리를 정해진 순으로 건너려 합니다. 모든 트럭이 다리를 건너려면 최소 몇 초가 걸리는지 알아내야 합니다. 트럭은 1초에 1만큼 움직이며, 다리 길이는 bridge_length이고 다리는 무게 weight까지 견딥니다.
※ 트럭이 다리에 완전히 오르지 않은 경우, 이 트럭의 무게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길이가 2이고 10kg 무게를 견디는 다리가 있습니다. 무게가 [7, 4, 5, 6]kg인 트럭이 순서대로 최단 시간 안에 다리를 건너려면 다음과 같이 건너야 합니다.
경과 시간다리를 지난 트럭다리를 건너는 트럭대기 트럭
0 | [] | [] | [7,4,5,6] |
1~2 | [] | [7] | [4,5,6] |
3 | [7] | [4] | [5,6] |
4 | [7] | [4,5] | [6] |
5 | [7,4] | [5] | [6] |
6~7 | [7,4,5] | [6] | [] |
8 | [7,4,5,6] | [] | [] |
따라서, 모든 트럭이 다리를 지나려면 최소 8초가 걸립니다.
solution 함수의 매개변수로 다리 길이 bridge_length, 다리가 견딜 수 있는 무게 weight, 트럭별 무게 truck_weights가 주어집니다. 이때 모든 트럭이 다리를 건너려면 최소 몇 초가 걸리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조건
- bridge_length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weight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truck_weights의 길이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모든 트럭의 무게는 1 이상 weight 이하입니다.
입/출력
풀이
#bridge_length = 2
#weight = 10
#truck_weight = [7,4,5,6]
cnt = 0
current_truck = [0]*bridge_length
#다리 길이만큼 지나갈 자리를 0으로 채움 2이면 [0,0]->[0,2]->[2,0]->[0,0]
while current_truck:
cnt += 1
current_truck.pop(0) # 지나갈 자리 0 을 pop 해줌.
if truck_weight: # 트럭의 무게 배열이 있을 때 까지
if sum(current_truck) + truck_weight[0] <= weight:
#현재 다리 상태 + 트럭의무게의 0번째 배열을 더한것이 무게보다 적다면
current_truck.append(truck_weight.pop(0))
#현재 다리 상태 배열에 트럭의 무게를 pop해서 추가함.
else: # 무게보다 높다면 현재 다리 상태에서 0을 추가함
current_truck.append(0)
print(cnt)
느낀 점
스택과 큐를 이용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다.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점은 지나가는 다리를 어떻게 구현할것이고 스택과 큐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냐에 따라 문제를 풀 수 있는것 같다. 스택과 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느낀 문제였고 알고리즘은 정말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가 높아야 빨리 풀 수 있는 문제라고 느껴진다. 자료구조에 대한 공부를 부족함 없이 해야겠다.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숫자의 표현 (0) | 2020.12.24 |
---|---|
[BOJ/백준] 10844번 쉬운 계단 수 (0) | 2020.12.24 |
[BOJ/백준] 1912번 연속합 (0) | 2020.12.20 |
[BOJ/백준] 9461번 파도반 수열 (0) | 2020.12.20 |
[BOJ/백준] 1110번 더하기 싸이클 (0) | 2020.12.18 |